얼마 전 윤여표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추진한 파격인사가 내부적으로 상당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 청장은 식약청의 직종 간(약무직 행정직 보건직등) 갈등 해소와 업무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일환으로 약무직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의약품안전국 내 전문성이 요구되는 보직에 행정직과 보건직을 발령하는 등 청 발족 이후 최대 규모의 이례적인 전보인사를 단행한바 있는데 최근 이로 인한 내부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더욱이 오랫동안 의약품관리과의 업무로 정착되어 왔던 소포장을 포함한 낱알식별표시관련 업무 등을 의약품 허가 주무부서인 의약품정책과로 이관시키기로 한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파격인사와 연계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의약품관리과의 과장자리에 이번인사로 행정직이 맡은 이후 일부업무가 의약품안전정책과로 이관되는 사태가 빚어짐으로써 전문성 결여에서 비롯된 조치가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돌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사실 이번 식약청의 파격인사와 관련하여 청 내외부에서 의약품안전국내의 약무직 이탈현상에 대해 전문성 결여를 초래할 수 있는 인사라는 점을 지적하는 인사들도 상당수 있다.
의약품 안전국내의 업무 전체가 약무직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수년전 의약품안전국의 수장인 국장이 비리 등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 시켰을 때 약무직이 아닌 일반직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청 내는 물론 정부 고위층에서 까지 논의됐던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청 출범이후 대대적인 파격인사전 까지는 의약품안전국의 총수자리는 약무직이 지켜왔다. 그 이유는 의약품안전관리와 허가업무의 최종책임자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는 청의 발족 취지와도 부합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인사에서 의약품안전국장이 약무직이 아닌 보건직으로 교체되면서 의약품 안전국내의 약무직이 고수해오던 자리의 상당수가 일반직으로 바뀌는 파격인사가 이루어진 것이다.
과거 역대청장들이 하고 싶어도 하지 못했던 의약품안전국내의 파격인사를 윤 여표청장은 실현시켰다. 하지만 그 인사가 업무에 영향을 초래할 만큼 파장이 커진다면 업무 쇄신을 위한 대안이 아니라 임기 중에 모험을 한 것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면키 어렵다.
그것은 인사로 업무쇄신을 일으키겠다는 본래의 취지에도 배치되기 때문이다.
파격인사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현상등과 관련하여 의약품안전국을 지탱하고 있는 약무직들도 전문성을 갖고 있는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다시한번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