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중에 설립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그동안 의약품 부작용 관리 전담기관과 인력부족으로 인해 주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보건당국의 조치에 의존해왔던 의약품부작용 관리의 효율적 시스템 구축이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9일 지난 4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설립을 위한 약사법이 통과됨에 따라 금년 중 기관 설립을 목표로 기재부와 예산 협의 등에 착수했다고 밝힘으로써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출범이 본격화 되고 있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설립이 구체화됨으로써 지난 2005년 국회 입법 발의된 지 6년여 만에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핵심기능은 ▲약화사고 등 의약품 부작용의 인과관계 조사·규명 ▲ 부작용보고 사이트 개설·운영 ▲ 의약품안전정보 수집·분석·평가 및 제공 ▲ 의약품 DUR 정보 생산·가공·제공 등이다.
의약품 부작용 정보등과 관련, 식약청은 지난 2006년부터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지역약물감시센터를 설치(현재 20개소), 자발적인 부작용 보고를 추진하여 보고 건수는 선진국 수준(‘09년 2만6,827건, ’10년 5만3,854건)에 도달했지만,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업무 능력 측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식약청은 의약품 정보관리원이 설립되면 그동안 보건복지부 비롯한 심평원을 통해 전국 병의원과 약국에 제공해온 의약품 적정사용정보(DUR)를 현행 2,000개 수준에서 선진국 수준(미국 2만개)으로 올리는 등 DUR 정보개발에 역점을 둘 방침이다.
특히 식약청은 의약품안전관리원이 가동되면 의·약사에게 의약품 처방·조제 시 의약품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부적절한 약물 사용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의약품 안전성 이슈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 수행으로 약화사고 등의 명확한 원인규명은 물론 의약품 부작용 피해 감소와 올바른 의약품 사용 등을 통한 국민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해일 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