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의약품 유통구조 개선돼야 한다” |
|
정해일
|
2008-04-16 오전 10:24:00
|
|
|
보건복지가족부가 내달부터 의약품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의약품유통조사 TF팀을 구성 가동한다는 소식이다.
의약품 유통구조의 개선은 어제 오늘의 현안이 아닌 만큼 이번 보건복지가족부의 의지가 부작용 없이 실현되기를 기대해 본다.
의약품 유통구조 개선의 필요성은 의약품과 관련한 유통상의 문제점이 제기될 때 마다 항상 단골메뉴로 등장하지만 수십여년 간 관행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의약품의 유통산업은 구세대의 허물을 과감하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솔직히 의약품 유통과 연계된 분야는 몇 십년 전의 과거나 현재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이는 새로운 의약품 개발에 견주어 유통은 발전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한 결과로 볼 수 밖에 없다.
의약분업과 더불어 의사의 처방권과 얽힌 다양한 이권, 제약-도매-약국으로 이어지는 단계의 의약품 유통은 도매업소의 과잉양산을 초래하여 업소간 치열한 유통경쟁을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문전약국의 음성적인 리베이트 제공 등은 이미 도를 넘어선 유통의 부조리로 공공연히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업소간의 불신은 의약품 유통의 암적 요인으로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유통의 난맥상은 제약과 도매간의 갈등은 물론 서로간의 책임을 전가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
지금과 같은 의약품 유통구조 속에서 올바르고 정상적인 유통을 지향한다는 것은 이윤을 추구하고자하는 경영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견해다.
아무튼 당국이 의약품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욕을 밝힌 만큼 미래지향적인 대안이 마련되기를 업계에서는 바라고 있다.
어떤 문제점을 쇄신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분야의 고통이 따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번 의약품유통 구조 개선을 주도하고 있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의약품 유통구조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제약 도매 약국의 실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정해일 주간】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