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력조사
심장병 증상에 대하여 자세히 물어보며,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성 심장병 등의 가족력에 대하
여 물어보며, 흡연이나 음주에 대하여도 물어봅니다.
2. 이학적 진찰
혈압을 측정하고, 전신상태와 심장에 대하여 진찰합니다.
3. 임상검사
1) 비침습적 검사
· 흉부촬영:심장의 크기와 모양을 알 수 있습니다.
· 심전도 : 부정맥, 심근경색, 심장비대 등을 진단한다. 운동부하 심전도는 운동으로 심장에 부담
을 주면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것으로 협심증이나 운동으로 유발되는 부정맥의 진단에 이용됩니
다. 홀터기록은 일상생활을 하며 보통 24시간 심전도를 기록하는 것으로 가끔 나타나는 부정맥
을 진단하거나 부정맥과 일상생활과의 관계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심초음파도:심장기능, 판막질환, 심낭삼출액, 심장내종양 등을 진단합니다.
· 핵의학 검사:동위원소를 혈관에 주사하여 심장기능, 단락, 심근혈류 상태, 심근경색 부위 등을
진단합니다.
2) 침습적 검사
· 심도자술 및 관동맥조영술:심장내에 도관을 넣어 심장기능, 판막의 협착정도, 단락등을 진단
하며, 관동맥조영술로 관동맥의 협착정도 및 부위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심전기생리학검사:전극도자를 정맥이나 동맥을 통하여 심장내의 여러부위에 위치시킨 후 여러
부위에서 전기도를 기록하고 전기자극을 하여 부정맥을 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