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5월 11일 (일) 02:46 주요뉴스 돌봄로봇 정책과 발전방안 논의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폐암치료제 자이카디아, 생존율 개선
노바티스, 1세대 ALK억제제 치료환자 대상 연구
fiogf49gjkf0d
최근 1세대 ALK 억제제 크리조티닙 치료 경험이 있는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서 2세대 ALK 억제제 자이카디아(Zykadia, 성분명: 세리티닙, ceritinib)의 생존율 개선 효과를 입증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크리조티닙 사용 경험이 있는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 158명을 대상으로 치료 패턴의 변화 및 생존율을 분석한 후향적 차트분석(retrospective chart review)연구다.

연구 결과, 2세대 ALK 억제제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생존율은 2세대 ALK 억제제로 치료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세대 ALK 억제제 치료군은 생존 환자가 많아 연구기간 동안 전체생존기간(OS)이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6개월 및 12개월 생존율은 각각 74.7%, 59.9%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크리조티닙 사용을 중단한139명 중 약 절반(47%)은 추가적인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39명 중 32명은 2세대 ALK 억제제로 치료 받았으며, 31명은 화학요법 치료를 받았다. 9명은 크리조티닙 치료를 재시작하거나 다른 표적치료제로 치료를 받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2015 유럽암학회(ESMO)에서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 8개국 25개 기관에 등록된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 158명의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후향적 차트분석이란, 환자 인구 통계, 임상적 특성, 치료 이력, 병의 진행 및 사망 등 환자의 의무기록을 사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근칠 교수는 “크리조티닙 복용 중단 이후 별다른 대안이 없던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고무적인 결과”라며 “2세대 ALK 억제제로는 자이카디아가 가장 광범위(78%)하게 사용되어 자이카디아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이라고 말했다.

한국노바티스 항암제사업부 곽훈희 대표는 “노바티스는 표적항암치료 분야의 리더로써 폐암 환자들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2세대 ALK 억제제 자이카디아를 통해 ALK+ 비소세포폐암 생존기간 연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리티닙 성분의 2세대 ALK 억제제 자이카디아(Zykadia™)는 기존 ALK 억제제인 크리조티닙 치료 경험이 있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 양(ALK+)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위한 치료 옵션으로 국내 시판 허가되어 있다.

자이카디아는 과거 ALK 억제제 치료 경험의 유무에 관계 없이, 자이카디아를 처음 투여 받은 환자, 뇌전이 상태의 환자를 포함한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인다. 글로벌 임상연구 ASCEND-1 결과에 따르면 총 246명의 ALK+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전체 반응률(ORR: overall response rate)은 61.8%,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free survival) 중앙값은 9 개월이었다.
[인터넷중소병원]  기사입력 2015-10-20, 10:28
- Copyrights ⓒ 인터넷중소병원 & ihospital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인터넷중소병원]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경동제약, '스타진정·스타메진정..
시타글립틴 기반 당뇨 치료제 경동제약이 DPP-4 억제제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스타진정’..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