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5월 03일 (토) 09:55 주요뉴스 수입식품 규제완화 선(先)적용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나트륨 섭취 제한, 혈압과 무관?
나트륨섭취량 하위 그룹이 상위 그룹보다 혈압 높아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혈압 관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학 의대 예방의학과의 린 무어 박사는 나트륨을 하루 권장섭취량보다 적게 먹는 사람이 많이 먹는 사람보다 장기적으로 혈압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프래밍햄 심장연구(FHS)에 참가하고 있는 남녀 2천632명(30~64세)을 대상으로 식습관 조사를 통해 이들을 하루 나트륨 섭취량 2.5g 이하와 이상, 칼륨 섭취량 2.3g 이하와 이상 그룹으로 나누고 16년 동안 혈압의 변화를 추적 관찰했다. 조사 시작 때 이들의 혈압은 모두 정상이었다.

결과는 나트륨과 칼륨 섭취량 하위 그룹이 상위 그룹보다 최고-최저 혈압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과 칼륨 섭취량 하위 그룹은 최고-최저 혈압이 평균 135.4/79mmHg로 상위 그룹의 129.5/75.6mmHg보다 현저히 높았다.

나트륨 섭취량이 3.7g, 칼륨 섭취량이 3.2g으로 가장 많은 그룹이 최고-최저 혈압이 가장 낮았다.

이 밖에 칼슘과 마그네슘 섭취량도 나트륨, 칼륨 섭취량과 마찬가지로 많을수록 혈압이 낮고 적을수록 혈압이 높은 역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혈압이 오로지 나트륨 하나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무어 박사는 설명했다.

나트륨 섭취량은 하루 3~4g이 적당한 것으로 보이며 많아도 5g을 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미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2015~2020'에는 나트륨 하루 권장섭취량이 티스푼 하나 정도인 2.3g(소금으로는 약 6g) 이하로 되어있다.

칼륨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양소로 검푸른 잎채소, 콩, 감자, 아보카도, 버섯, 바나나, 호박 등에 많이 들어있다.

그러나 미국 심장학회(AHA)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나트륨 권장량 지침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AHA는 최적의 나트륨 섭취량은 하루 1.5g을 제시하고 있다.

셰릴 앤더슨 AHA 대변인은 참가자들의 나트륨을 포함한 각종 미네랄 섭취량은 6일간의 식사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이런 조사방법은 신빙성이 떨어지며 소변 샘플 검사가 정확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시카고에서 '실험생물학 학술대회 2017'(Experimental Biology 2017)의 목적으로 열린 미국 영양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인터넷중소병원]  기사입력 2017-04-28, 9:36
- Copyrights ⓒ 인터넷중소병원 & ihospital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인터넷중소병원]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경동제약, '스타진정·스타메진정..
시타글립틴 기반 당뇨 치료제 경동제약이 DPP-4 억제제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스타진정’..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