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6월 28일 (토) 02:28 주요뉴스 식의약 온라인 소비환경 조성 나서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아세트아미노펜, 독감에 효과 없어
환자 발열 줄이지 못하고 임상 증상도 그대로
fiogf49gjkf0d
아세트아미노펜이 인플루엔자바이러스나 그 증상에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감염학회를 비롯한 국제적 지침들은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도 알져져 있는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해열제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팀은 그 약물을 하루에 4번 투여했음에도 유익함이나 해로움이 없었음을 확인했다.

이론적으로 발열을 줄이는 것, 즉 감염증에 대한 적응 반응(adaptive response)은 실제로 독감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공동저자인 뉴질랜드의학연구소의 아이린 브레이스웨이트 박사는 지적했다.

연구팀은 아세트아미노펜이 성인 환자들의 발열을 줄여서 “보다 장기간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수치를 높은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독감 증상을 더 오래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고 브레이스웨이트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위약과 비교할 때 아세트아미노펜은 발열을 줄이지 못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수치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같았으며 독감의 임상적 증상에도 차이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연구티은 2011년과 2012년 뉴질랜드에서 80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시험을 시행했다. 이 대상자들은 기침이나 인후염, 콧물, 두통과 같은 독감 증상들을 가지고 있었다.

환자들의 절반은 5일 동안 하루에 4번씩 500mg 아세트아미노펜 정제 2개를 투여했다. 나머지 절반은 위약을 투여했다.

연구팀은 첫째 날과 둘째 날, 그리고 다섯째 날에 바이러스 부담(viral load)을 측정했으며, 최대 14일까지 매일 환자의 체온과 증상 점수를 기록했다.

그 결과 증상 점수와 발열 정도, 독감에서 회복되는 시간, 건강 상태는 아세트아미노펜 그룹과 위약 그룹에서 서로 비슷했다고 연구팀은 Respirology 온라인 판 12월 6일자에 보고했다.

브레스웨이트 박사는 “우리의 연구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이 왜 통증에 전혀 효과가 없었는지 그 이유를 알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로 건강한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단 하나의 연구는 모든 사람들에서 독감에 대한 아세트아미노펜의 효과를 보여주는 일반화된 결론을 이끌어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고 브레이스웨이트 박사는 밝혔다.

다만 그는 “이번 연구가 보여주는 것은 독감을 가진 사람들에게 보통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는 관행의 실제적인 증거 기반에 대한 몇 가지 아주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중소병원]  기사입력 2015-12-16, 12:39
- Copyrights ⓒ 인터넷중소병원 & ihospital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인터넷중소병원]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경동제약, '스타진정·스타메진정..
시타글립틴 기반 당뇨 치료제 경동제약이 DPP-4 억제제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스타진정’..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