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18일 (금) 04:32 주요뉴스 HIV 진단검사 최신 정보 공유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3개 약물 병합요법, AML에 탁월
홍콩 연구팀, 저용량으로 독성 적고 반응률 높아
재발성 혹은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을 가진 환자들에서 오래된 세 가지 약물의 새로운 병합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클로파라빈(clofarabine)과 시타라빈(cytarabi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을 각각 저용량으로 투여하는 CLAM 병합요법을 시행함으로써 독성과 유효성의 균형을 맞추고 이전의 클로파라빈 함유 병합요법에서 관찰됐던 것보다 더 높은 반응률을 이룸으로써 아주 효율적인 상황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중국 홍콩대학교의 욕-람 광 박사팀은 “CLAM은 불응성/재발성 환자들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HSCT)으로 연계시키는 데 아주 효과적이었으며, 이식술을 훼손할만한 의미 있는 독성에도 이르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완전 관해와 지속적인 관해의 비율도 높았는데, 동종 HSCT를 받지 않은 환자들에서도 그 비율이 높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한 유효성은 고위험 핵형 및 유전자 돌연변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제2상 연구에서 나온 이 같은 결과는 Cancer Medicine 온라인 판 3월 18일자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연구팀은 “불응성/재발성 AML의 치료 경향은 점차 개별 환자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자 표적의 시대에 CLAM은 여전히 일정한 역할이 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에는 52명의 성인 AML 환자가 포함됐는데, 이들의 중앙값 연령은 46세였다. 대상 환자들은 3+7 다우노루비신/시타라빈 병합요법에 의한 일차 유도요법에 반응을 하지 않거나 또는 3+7 유도요법 및 고용량 시타라빈 공고요법 후 재발을 경험했다.

모든 환자들이 클로파라빈(1-5일 하루 30 mg/m2)과 시타라빈(1-5일 하루 750 mg/m2), 미톡산트론(3-5일 하루 12 mg/m2)으로 이루어진 CLAM 병합요법을 받았다.

관해에 도달한 환자들은 50% CLAM을 공고요법으로 두 사이클까지 받았으며, 적합한 환자들은 동종 HSCT으로 이어졌다.

CLAM 첫 사이클 후에 전체적인 반응률은 90.4%였는데, 완전관해에 도달한 경우는 69.2%였고 조혈기능이 불안전하게 회복되면서 완전관해에 도달한 경우는 21.2%였다.

계속해서 동종 HSCT를 받은 22명의 완전관해 환자 중에서 2년 생존율은 65.8%, 무재발 생존율은 45.7%, 무사고 생존율은 40.2%였다.

동종 HSCT를 받지 않은 25명의 환자 가운데 7명의 환자가 중앙값 13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후에도 지속적인 완전관해를 나타냈으며, 18명이 재발을 경험했다.

연구팀은 “CLAM과 동종 HSCT 이후의 완전관해는 각각 84.3%와 90%의 2년 생존율을 나타냈다”고 밝히고 “핵형 변화와 유전자 변이는 반응률이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신 박 기자] sdocter@cdpnews.co.kr
[인터넷중소병원]  기사입력 2020-04-01, 8:10
- Copyrights ⓒ 인터넷중소병원 & ihospital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인터넷중소병원]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