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18일 (금) 05:53 주요뉴스 HIV 진단검사 최신 정보 공유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COVID-19 백신, 마우스에 “효과”
접종 2주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급증 관찰
손톱만한 크기의 패치를 통해 전달되는 COVID-19 후보백신이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초기 시험에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 연구팀이 최근 밝혔다.

세계의 연구자들은 COVID-19에 대한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최근 몇 달 동안 COVID-19는 거의 100만 명을 감염시켰고 약 4만7,00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연구팀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중동호흡기증후군(SARS)를 유발하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기 때문에 COVID-19 백신 개발 쪽으로 신속하게 선회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는 이 새로운 바이러스와 어느 지점에서 싸워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았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이 원형 백신은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했을 때 2주 내에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항체의 급증’으로 불릴만한 현상을 초래했다. 이 연구팀은 이 백신을 PittCoVacc이라고 불렀다.

이 연구팀은 아직까지 마우스가 아주 오랫동안 추적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COVID-19에 대한 면역반응이 지속되는지, 지속된다면 얼마나 지속되는지를 지금 언급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MERS 실험백신으로 마우스를 실험했을 때 1년 이상 코로나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준의 항체가 생성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번 연구는 EBioMedicine 온라인 판 4월 2일자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이 논문에서 연구팀은 지금까지 SARS-CoV-2 접종을 받은 마우스의 항체 수준이 동일한 경향을 따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개월 내에 임상시험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이 백신후보를 검증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백신은 효능을 강화하기 위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microneedle array)라고 불리는 바늘 패치 디자인을 이용하고 있다.

[신 박 기자] sdocter@cdpnews.co.kr
[인터넷중소병원]  기사입력 2020-04-07, 8:33
- Copyrights ⓒ 인터넷중소병원 & ihospital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인터넷중소병원]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