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의 경화가 원인이 되어 심근이 요구하는 만큼의 혈액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상태, 즉 심장으로 가는 혈액의 양이 부족하여 수요·공급의 균형이 깨지는 상태를 관부전이라고 합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관부전의 상태가 일어난 경우가 생깁니다. 그것을 정리하면, ①관상동맥경화등으로 혈관에 협착이 있을 경우②관상동맥에 위축이 생겼을 경우 ③빈혈 등으로 혈액 산소가 적어진 경우 ④심근 세포의 변화로 산소등을 받아들이는데 장애가 있을 경우와 정신적, 신체적 피로가 가해졌을 경우 등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