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03일 (목) 13:35 주요뉴스 글로벌 식품첨가물 기준 선도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데스크 칼럼
당번약국 실패 교훈 삼아야 한다
  2012-05-14 오전 9:33:00

일부의약품의 편의점 판매 허용은 결과적으로 대한약사회 차원에서 추진되었던 당번약국 운영의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의견이 제기돼 주목받고 있다.

당번약국이 효율적으로 가동되어 소비자들에게 상비의약품의 구입에 대한 불편함만 해소됐더라도 약사법 개정은 국회에서 논의될 사안이 아니었다는 지적이다.

민주통합당의 비례대표 당선자인 김 용익 서울대 교수는 최근 약사법 개정과 관련하여 의약분업 당시 "당번약국의 필요성을 강도 높게 강조했으나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 약사들이 지금의 편의점 의약품 판매를 자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당선자는 "의약품의 편의점 판매는 미국이나 유럽등 약국의 수가 부족한 국가에서 필요한 제도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전국에 2만여개 이상의 약국이 있는 경우 당번약국의 운영만 잘 이루어지면 소비자들이 아무런 불편이 없다"고 강조했다.

지금 약국가는 일부의약품 편의점 판매와 관련, 약사법이 개정된 것에 대해 대한약사회 집행부에서 그 누구도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데 불만이 고조 되고 있다.

일부 지역약사회에서는 긴급이사회를 열어 대약의 이 같은 행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회비 납부 거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회원들의 반발이 심화되고 있다.

당번약국의 실패는 약사회 집행부와 회원 모두의 잘못으로 야기 된 것이다.

전문 직능은 국가에서 부여한 면허만 보유하고 있다고 지켜지는 것이 아니다.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특수상품이다. 약사는 의약품을 취급하는 전문직능인이란 점을 감안할 때 이권을 떠나 소비자들로 부터 신뢰와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당번약국의 몰락이 편의점 의약품 판매를 불러왔다면 또 다른 현안의 잘못으로 어떤 부작용을 몰고 올지 예측할 수 없다.

올 12월에는 대한약사회의 새로운 수장을 선택해야 하는 회장 선거가 있다.

약사회 집행부를 비롯한 회원들은 이 같은 당번약국의 실패 사례를 교훈삼아 어떤 자세가 전문 직능의 권익을 지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새삼 필요한 시점이다.

【정 해일주간】

주목받는 한국의약품 유통업물류조합
【칼럼】외자사와 품목 코마케팅 우려된다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