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06일 (일) 12:18 주요뉴스 바이오헬스 창업기업 투자유치 지원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부음] 신신제약 김상...
[선출] 신명근 교수,...
[선출] 유창식 강릉아...
[부음] 김주신 한국병...
[부음] 바스칸바이오제...
[선출] 의사수필가협회...
유럽의 향기 - 홍 순기..
은하수를 끌어오다 - ..
침대 곁에서 - 유 형준..
유형준교수 포럼
김철수원장 포럼
안웅식교수 포럼
 
성인병 원인과 예방
성인병 운동요법
성인병과 식생활
성인병 한방요법
  성인병 묻고 답하기
  박달회 수필 릴레이
HOME > 해외소식
젊은 세대 충수암 발병률 증가
맹장암(Appendix Cancer)은 드물지만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맹장염과 비슷하며, 많은 사례가 우연히, 그리고 맹장염 수술 중에 발견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에..
근력향상, 훈련 빈도가 중요
근육을 키우거나 더 강해지려면 몇 시간씩 웨이트 트레이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미국 플로리다 애틀랜틱대학의 연구자들은 “실제적인 성과를 보려면 생각 보다 적은 운동량, 즉, 단지 몇 가지 똑..
과일 섭취, 수면의 질 향상
과일과 채소를 더 많이 섭취하면 수면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대학과 컬럼비아대학의 연구진은 낮 동안 과일, 채소, 통곡물을 더 많이 먹으면 그날 밤에 더 나은 수면을 취..
인슐린 저항성 개선, 식이요법 팁 04/04 10:02
에스트로젠 치료, 치주염 위험 낮춰 04/03 10:03
습진 치료제 ‘두픽센트’ 美 승인 03/31 09:09
자폐증진단, 생화학적 방법 개발 03/30 11:03
“유럽 심부전 환자들 치료 불량” 03/30 08:49
호두 섭취, 정자의 질 향상에 도움 03/29 08:00
희귀 피부암 치료제 美 FDA 승인 03/28 13:55
소금섭취 줄이면 야간뇨 횟수 감소 03/27 14:15
엽산, 자녀의 혈압 상승 위험 낮춰 03/27 09:14
BPH 약물이 우울ㆍ자해 위험 높여 03/24 09:42
파킨슨병 치료제 ‘자다고’ 美 승인 03/23 10:05
애브비, 평판 좋은 제약사 3년 연속 2위 03/23 10:05
남성 유방암 관련 단백질 발견 03/22 09:43
SGLT-2 억제제, 심부전 사망 감소 03/21 15:07
유방암 환자 임신, 생존에 영향 없어 03/21 09:55
과일ㆍ채소, COPD 발생 위험 줄여 03/20 10:13
소아기 성장호르몬 치료, 암 위험 없어 03/17 10:13
뇌졸중 환자, 항응고치료 부적절 03/17 10:10
‘키트루다’ 혈액암 적응증 추가 03/16 10:30
다파글리플로진, 당뇨환자 사망 줄여 03/15 09:24
모기장 이용한 서혜부탈장 복원술 03/14 08:25
장내세균, 과민성대장증후군 뇌에 영향 03/13 11:55
“저혈당, 심장에 나쁜 영향 준다” 03/13 09:42
“고혈압 환자, 소금 섭취량 많다” 03/10 11:30
코 분비물 검사로 폐암 여부 알 수 있다 03/10 10:01
심장병 환자에 생약제제는 “위험” 03/09 09:34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 치료제 승인 03/08 09:44
“릭시세나티드, 당뇨병 치료 탁월” 03/07 09:45
암 피로 감소, 운동이 효과적 03/06 11:45
야간 다뇨증 치료제 녹티바 美 승인 03/06 09:39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리..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